Review
-
[주간기술동향 2155호] 5G 네트워크에서의 의도 기반 네트워킹 기술 동향Review/주간기술동향 2024. 11. 26. 12:53
I. 의도 기반 네트워킹 기술**의도 기반 네트워킹(Intent-Based Networking: IBN)**은 네트워크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원하는 서비스 의도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게 전달하여 해당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IBN은 인공지능(AI), 기계학습(ML), 딥러닝 등의 기술과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네트워크 정책으로 번역하고 자동화된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의도 라이프 사이클에는 의도 번역(intent translation), 적용(intent deployment), 모니터링(intent monitoring), 검정(intent validation), 재설정(intent reconfigura..
-
[주간기술동향 2154호] 공간 확장을 위한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기술 동향 분석Review/주간기술동향 2024. 11. 13. 08:17
I. 서론차세대 통신 네트워크는 기존 지상파 중심의 수평적 통신에서 벗어나 우주, 항공, 수중 등 3차원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 아키텍처로 확장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산간, 사막, 해양 지역 등 기존 통신 인프라가 미비한 곳에서도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가 가능해지며, 자연재해나 전쟁 상황에서도 신속한 통신 복구를 지원한다.II. 3GPP 기반 위성 통신 연구 동향3GPP는 NTN(Non-Terrestrial Network) 설계를 통해 위성 네트워크와 기존 지상파 통신망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산 지역, 사막, 해양과 같은 지역에서도 통신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으며, Release 17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와 **GNSS(Global ..
-
[주간기술동향 2154호] 6G 이동통신을 위한 과금정책 및 경제모델 연구 동향Review/주간기술동향 2024. 11. 13. 08:14
I. 서론6G 이동통신은 초저지연, 초고속, 엣지 컴퓨팅, AI-native 서비스 등을 지원하며, AR/VR, 자율주행 등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와 유지비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효율적인 과금정책 및 경제 모델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II.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변동 요금제**변동 요금제(Dynamic Pricing)**는 데이터 사용량, 시간, 장소 등에 따라 요금을 유동적으로 조절하는 과금 정책이다. 프린스턴대학교의 TUBE(Time-dependent Usage-based Broadband price Engineering) 시스템은 시간 기반 변동 요금제를 도입해 네트워크 혼잡을 줄이고, 사용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인지 무선 환경에서 스펙트럼 활용..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안내서 요약 ('24.10)Review/주요문서 및 가이드 요약 2024. 11. 11. 14:01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안내서는 개인정보 처리 시 요구되는 필수적인 기술적, 관리적, 물리적 조치를 설명하여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문서입니다. 블로그 포스팅 시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주요 내용을 간략하고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 법적 근거개인정보 보호법 제29조(안전조치의무)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6조제2항(개인정보의 파기방법), 제30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제30조의2(공공시스템 운영기관 등의 개인정보 안전성 확보 조치)2. 적용 대상개인정보처리자: 업무를 목적으로 개인정보 파일을 운용하는 공공기관, 법인, 단체 및 개인 등.개인정보처리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 개인정보의 제공을 받은 제3자.수탁자: 개인정보처리자로부터 개인정보..
-
[주간기술동향 2153호] 4차 산업혁명과 측정표준의 디지털화Review/주간기술동향 2024. 11. 4. 14:30
I. 4차 산업혁명과 측정표준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을 통해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을 이뤄냈으며, IoT 네트워크,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로보틱스 등의 기술이 통합되어 스마트 제조와 지능형 공장을 구현한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최적의 의사결정을 위한 판단자료로서 생산성, 효율성, 유연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AI와 빅데이터는 생산 현장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동화와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디지털트윈과 증강현실(AR) 등의 기술은 생산과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을 높인다.II. 측정표준의 디지털화측정표준의 디지털화는 전 세계의 국가측정표준기관들이 디지털 프레임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방안을 마련하고, SI 기본단위의 소급성 체계를 디지털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
[주간기술동향 2153호] 6G를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진화Review/주간기술동향 2024. 11. 4. 14:29
I. 서론6G는 디지털 세계와 물리적 세계의 통합을 목표로 하며, 디지털화, 개인 안전 보장,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한다. IMT-2030 프레임워크가 마련된 이후, 6G 연구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2030년 전후로 상용화가 예상된다.II. 6G 네트워크 아키텍처 고려사항스펙트럼 통합 및 전환: 6G는 신규 대역과 기존 대역을 통합하여 성능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더 많은 스펙트럼을 지원하고, 업링크 성능과 커버리지 확보를 위해 더 낮은 대역과 결합해야 한다.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진화: Cloud-RAN으로의 전환을 통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분리하여 새로운 멀티 벤더 환경에서 멀티 벤더 인터페이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코어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진화: 5G에서 ..
-
[주간기술동향 2152호] 다계층 주파수 공동사용의 진화 및 전자기스펙트럼 관리 기술 동향 요약Review/주간기술동향 2024. 10. 30. 16:08
I. 전자기스펙트럼 관리 기술의 고도화 필요성현재 스타링크와 같은 저궤도 위성 서비스의 증가와 함께 위성과 지상 단말 간의 직접 통신(Direct-to-Cell)이 가시화되고 있다. 6G 연구 대역으로 고주파 대역이 고려됨에 따라 지상과 공중, 위성망이 혼재하는 입체 무선망 형태로의 진화가 예상되며, 상업 및 군 통신에서도 이와 같은 변화가 진행 중이다. 이는 주파수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주파수 공동사용 및 혼간섭 보호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전자기스펙트럼 관리 기술의 고도화가 요구된다.II. 민간의 전자기스펙트럼 관리 도구 현황미국은 **CBRS(Citizens Broadband Radio Service)**를 통해 민간과 군 간의 주파수 공동사용을 위해 **SAS(Spectrum Access Sy..
-
[주간기술동향 2152호] 5G LAN-Type 서비스 표준기술 동향 요약Review/주간기술동향 2024. 10. 30. 16:05
I. 서론5G LAN-type 서비스는 5G 시스템을 통해 그룹 내 사용자 간 통신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기존의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5G의 높은 처리율, 낮은 지연 시간, 이동성 관리와 보안성 등 향상된 성능을 바탕으로 산업 네트워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공장 자동화와 로봇 제어와 같은 저지연 통신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II. 5G 네트워크 구조 및 구성요소5G 네트워크는 단말(UE),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코어 네트워크(CN)**로 구성되며, 코어 네트워크는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으로 분리되어 있다. 5G 시스템은 **서비스 기반 아키..